BUSINESS
판심법무법인 상간소송 방어·위자료 청구 대응 분야 안내
상간자 소송

부부 일방이 불륜행위를 저지른 경우, 다른 일방이 받은 정신적 고통에 대한 손해 배상을 청구하는 소송을 말합니다. 다른 부부 일방에 청구하거나 불륜행위의 상대방에 대하여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혼

·협의이혼
·조정이혼
·이혼소송
·양육권지정 심판청구
·재산분할
위자료

위자료란 혼인 파탄의 책임이 있는 배우자 또는 상간남녀에게 청구하는 '정신적 고통에 대한 손해배상'을 의미합니다.
상속

·상속재산분할 심판청구
·유류분반환청구
·상속회복청구
INTRODUCTION
판심법무법인 소개 및 철학
Private
사생활 보호가 가장 중요한 이혼사건의 특성을 고려하여 모든 사건을 해결합니다.
Personal
새로운 삶으로 가는 방향은 리브가 만들겠습니다.
Premium
판심의 High quality Legal Services, 자신이 없으면 자부하지도 않습니다.
판심 구성원
판심법무법인 상간소송 방어 사건 담당 변호사
문유진 대표변호사
서울대법대 판사역임
이광수 변호사
서울대법대 부장검사역임
신규호 변호사
수원지검 군검사역임
임완기 변호사
서울대법대 졸업
김진국 변호사
서울대법대 졸업
김상수 변호사
서울대경영대 졸업
[판사의 마음] 판사출신 문유진 변호사
서울법대판사출신 과학고조기졸업 카이스트진학 사법시험 49회 엘리트판사의 엘리트변호

당신의 변호사는 누구입니까?
나의 변호사는 판심, 판심입니다.

법대 위에서 수없이 많은 변호를 듣던 판사!
그 판사가 이제 당신만의 변호사가 되어
오직 당신만을 위해 변호합니다.

현) 판사의 마음 판심 법무법인 대표변호사
전) 수원지방법원 판사
전주지방법원 판사

과학고 조기졸업, 카이스트 진학
서울대 법대 졸업
사법시험 제49회 합격

​성범죄ㆍ아동학대 전담재판부 판사
부패(횡령, 배임, 사기), 교통 전담재판부 판사
형사부 판사
민사부 판사
행정부 판사
가압류가처분 판사
수원지방법원ㆍ경기지방변호사회
공동판례연구회 부동산명의신탁 발제
[판사의 마음, 판심 법무법인]

상간소송방어 Q&A

PANSIM Q&A

Q1. 상간소송에서 피고(상간자)는 어떤 책임을 지나요?

A. 혼인 중 제3자와의 부정행위가 인정되면 정신적 손해배상(위자료)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혼인 파탄 시점·교제 경위·고의·인지 여부에 따라 책임 범위가 달라집니다.

DEFENSE

Q2. 상간소송에서 가장 중요한 방어 포인트는?

A. ① 혼인관계가 이미 파탄 상태였는지 ② 피고가 유부남·유부녀임을 몰랐는지 ③ 교제가 일시적이었는지 등이 핵심 쟁점입니다.

EVIDENCE

Q3. 어떤 증거가 방어에 도움이 되나요?

A. 혼인관계 파탄 증거(별거확인서·이혼합의서·대화기록), 상대 배우자와의 문자, 제3자 진술, 관계 시작 시점의 시간대별 기록 등이 유용합니다.

ILLEGAL EVIDENCE

Q4. 불법촬영·사생활 침해 증거는 어떻게 되나요?

A. 위법하게 수집된 자료(위치추적기·몰래카메라·무단녹음)는 증거능력이 인정되지 않으며, 오히려 통신비밀보호법·개인정보보호법 위반으로 역고소 가능성이 있습니다.

SETTLEMENT

Q5. 합의로 사건을 마무리할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위자료 감액·조정합의 등으로 종료할 수 있으며, 합의서 내용은 반드시 서면으로 명확히 남겨야 추후 분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SENTENCE

Q6. 법원은 어떤 기준으로 위자료를 정하나요?

A. 혼인기간, 부정행위 기간, 파탄 정도, 피고의 태도, 피해자의 고통 등을 종합합니다. 통상 500만~3,000만원 수준에서 판단되지만, 사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CEDURE

Q7. 소송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A. 소장 접수 → 답변서 제출 → 변론기일 → 증거조사 → 판결 순으로 진행되며, 재판 전 조정기일이 열릴 수도 있습니다.

AFTER

Q8. 패소 후 대처할 방법은 있나요?

A. 판결에 불복할 사유가 있다면 판결문 송달 후 2주 이내 항소가 가능합니다. 합의로 종결된 경우 재소가 제한될 수 있으니, 내용 확인이 필요합니다.

LAW · 법제처

Q. 관련 법령은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A. 「민법」 제750조(불법행위), 제751조(재산·정신적 손해배상), 제766조(소멸시효) 및 「가사소송법」의 가사소송 절차 조항을 참고하세요.
민법 · 가사소송법

※ 본 글은 공신력 있는 기관 자료를 참고한 일반 법률정보입니다. 개별 사건은 사실관계·증거·시점·혼인관계 파탄 여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meta-note: 판심 카드형 Q&A · 상간소송방어 · color #e06666(이혼분야 고정) · 8문항 + 법제처 민법·가사소송법 요약 + 면책문 포함 · 2025-10

Quick
Menu